
1. 주요 재무 성과 요약 (2026 회계연도 2분기)
엔비디아는 시장의 높은 기대치를 다시 한번 상회하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며, AI 인프라 솔루션에 대한 강력한 수요를 입증했습니다.
구분 | 발표 실적 | 시장 예상치 |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
매출 (Revenue) | 467억 달러 | 461억 달러 | - |
주당순이익 (EPS) | 1.04 달러 (비GAAP 기준) | 1.01 달러 | - |
총 이익 마진 (Gross Margin) | 72.7% (비GAAP 기준) | - | - |
- 실적 분석: 엔비디아의 매출(467억 달러)과 주당순이익(1.04 달러)은 모두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며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특히, 시간 외 거래에서 주가는 소폭 상승(0.18%)하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2. 사업 부문별 성과 및 성장 동력
엔비디아의 성장은 핵심 동력인 데이터센터(Data Center) 부문이 이끌었습니다.
- 데이터센터 매출: 전년 동기 대비 56% 증가하며 AI 칩 시장에서의 지배력을 확고히 했습니다. 이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CSP) 및 대형 인터넷 기업들의 AI 인프라 구축 경쟁 심화에 따른 직접적인 수혜입니다.
- 성장 둔화 조짐: 그럼에도 불구하고, 엔비디아의 매출 증가율은 지난 5개 분기 연속 세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던 과거에 비해 둔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1분기 69% 증가율에 이어 2분기는 53% 증가율로 추정되면서 성장률 자체의 기울기는 낮아지고 있습니다.
- 주주 환원 확대: 엔비디아는 자사주 매입 및 배당금 지급을 통해 주주들에게 총 100억 달러를 환원했습니다.
3. 향후 전망 및 핵심 투자 포인트 (가이던스)
젠슨 황 CEO는 이번 실적 발표를 통해 '새로운 산업 혁명'을 강조하며 엔비디아의 지속적인 AI 인프라 리더십을 강조했습니다.
- 3분기 매출 전망: 엔비디아가 제시한 2026 회계연도 3분기 매출 전망치는 540억 달러로, 시장은 AI 인프라 솔루션에 대한 지속적인 강력한 수요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총 이익 마진 역시 73.3%에서 73.5% 사이로 높게 제시되었습니다.
- 블랙웰(Blackwell) 플랫폼: 젠슨 황 CEO는 차세대 AI 칩 '블랙웰(Blackwell)' 플랫폼 출시를 강조했습니다. 블랙웰의 시장 확산 속도는 향후 엔비디아 실적의 가장 큰 관건이 될 것입니다.
- 중국 시장 회복 기대: 미국 정부의 수출 규제에도 불구하고, 중국용 저사양 AI 칩인 'H20' 칩 출시 일정과 판매 재개 여부는 향후 매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주요 요소로 지목됩니다.
4. 시장 반응 및 주요 위험 요소
실적 발표 전후로 엔비디아의 주가는 AI 대장주로서 시장 전체의 향방을 가르는 최대 분수령으로 평가되었습니다.
- 시장 변동성: 로이터 통신 등은 실적 발표 후 엔비디아 주가가 최대 6% 오르거나 내릴 수 있으며, 시가총액이 최대 2,600억 달러(약 362조 원) 변동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습니다.
- 위험 요소: 투자자들이 주목하는 잠재적 위험 요소로는 공급망 차질, 경쟁 심화, 규제 관련 문제, 그리고 거시 경제 압력이 꼽힙니다. 특히, AI 거품론 속에서 현재 4.4조 달러 규모의 시가총액이 정당화될 수 있는지를 투자자들이 확인하고자 하는 상황이었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로이온스 뜻 유래 정리! (0) | 2025.10.09 |
---|---|
SK텔레콤 GPT 무료이용권 사용방법 총정리 (0) | 2025.10.09 |
광고 없이 깨끗하게! '광고 없는 스도쿠' 앱 다운로드 (0) | 2025.10.08 |
치질 대표적인 증상, 통증, 증세 완벽 정리! (0) | 2025.10.08 |
부산 시민 필수 정보! 폐가전제품, 수수료 없이 집에서 '무상 방문 수거'로 해결하세요 (122) | 2025.09.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