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은 힘이 세지, 꽃이 진다고 그대를 잊은 적 없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말보다 침묵의 무게가 더 큰 하루입니다.
2025년 4월 16일, 바로 오늘은 세월호 참사 11주기입니다.
11년 전, 2014년 4월 16일 아침, 제주도로 향하던 여객선 ‘세월호’가 진도 앞바다에서 침몰하면서
304명의 소중한 생명이 바다 속에 잠겼습니다.
그날 이후, 봄은 더 이상 단순히 따뜻한 계절이 아닌,
누군가를 애타게 기다리던 그 시간을 떠올리는 계절이 되었습니다.
우리가 세월호를 기억하는 이유
세월호 참사 11주기를 맞은 오늘,
우리는 그저 슬픔을 되새기는 것을 넘어서,
꼭 기억해야 할 몇 가지 가치를 다시 마음에 새기게 됩니다.
1. 희생자에 대한 추모와 기억
304명의 이름 하나하나,
그들의 웃음, 꿈, 가족을 우리는 잊지 않습니다.
기억하는 것은 그들을 다시 부르는 일이자,
잊지 않겠다는 우리의 약속입니다.
2. 안전 사회에 대한 염원
“다시는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그날 이후 수많은 부모와 시민들은 말합니다.
우리 사회는 여전히 더 안전해져야 합니다.
책임 있는 시스템, 구조, 문화로 나아가야 합니다.
3. 진상 규명과 책임의 완결
아직도 풀리지 않은 질문들이 많습니다.
왜 구조는 그렇게 늦었는가,
누가 책임을 져야 했는가.
11년이 지나도,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여전히 진행형입니다.
4. 교훈으로 남기는 변화
세월호 참사는 우리에게 무엇을 가르쳤는가.
그 교훈은 단순한 추억이 아닌,
정책과 제도, 교육과 인식에서의 변화를 이끌어내야 합니다.
2025년, 세월호 참사 11주기 추모 행사
올해도 전국 곳곳에서 희생자를 추모하고, 안전사회를 염원하는
다양한 기억과 추모의 물결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선상 추모식 및 해역 기억식
- 4·16재단과 단원고 희생자 유가족이 함께
세월호 사고 해역에서 선상 추모식을 진행했습니다.
바다를 바라보며, 이름을 부르고, 기억의 꽃을 띄웠습니다. - 목포신항, 진도 팽목항에서도 각 지역별로 추모 행사가 진행됐습니다.
안산 기억식
- 경기 안산 화랑유원지에서는
유가족, 시민, 학생 등 다양한 이들이 함께한
11주기 공식 기억식이 열렸습니다.
“우리가 잊지 않겠습니다”라는 다짐이 곳곳에 퍼졌습니다.
시민 자발 추모
- 서울시의회 앞 ‘세월호 기억공간’에는
노란 리본과 포스트잇, 꽃들이 다시금 모이고 있고, - 전국의 학교, 광장, 도서관에서도 시민들이
작은 문화제와 촛불 추모회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온라인 추모 캠페인
- SNS에서도 추모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기억은힘이세지, #꽃이진다고그대를잊은적없다
같은 해시태그를 통해,
온라인에서도 함께 기억하고 마음을 전하는 분위기입니다.
함께 만들어가는 기억의 공간과 활동들
세월호 참사 11주기를 맞아,
단순한 행사만이 아닌 지속적인 기억의 공간과
변화를 위한 실천도 함께 이어지고 있어요.
📌 4·16재단 활동
- 세월호의 진실을 규명하고,
피해자와 유가족 지원,
그리고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11년째 꾸준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 세월호 기억관
- 진도 팽목항에 위치한 ‘기억관’은
참사의 흔적과 의미를 보존하며
누구든 찾아와 그날을 되새길 수 있는 공간입니다.
📌 4·16생명안전공원
- 안산에 조성 중인 생명안전공원은
세월호 희생자들을 기리기 위한 공간이자,
앞으로 생명과 안전을 우선하는 문화를 전파하기 위한 거점이 될 예정입니다. - 2025년 현재, 지난 2월 착공식을 마치고 본격적인 조성 단계에 돌입했습니다.
정치·사회 각계의 추모 메시지
정치권과 사회 각계에서도
세월호 참사 11주기를 맞아
다시 한 번 희생자를 추모하고,
책임 있는 사회, 생명 중심의 안전 정책을 강조하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습니다.
국가가 생명을 지키지 못한 그날의 참사를 기억하며,
이제는 국가가 먼저 책임지고 생명을 지키는 사회로 나아가야 할 때입니다.
우리가 멈추지 말아야 할 이유
우리는 오늘, 단지 과거의 비극을 슬퍼하기 위해
세월호를 이야기하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잊지 않아야 하는 이유,
우리가 바꿔나가야 할 사회,
그리고 그날 끝내 돌아오지 못한 304명의 이름이 있기 때문입니다.
기억은 살아 있는 행동입니다.
그날을 잊지 않는 우리의 마음이,
다음 세대에게 더 안전하고 정의로운 사회를 물려주는 시작입니다.
2025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 11주기를 함께 기억하며
다시 다짐합니다.
"304명의 이름을 잊지 않겠습니다.
그날의 진실을 끝까지 밝혀내겠습니다.
그리고 다시는, 이런 비극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4월 월간 운세 띠별 운세 총정리 ! (1) | 2025.04.17 |
---|---|
거제시 민생지원금 지급일정, 지급대상, 신청방법 총정리! (0) | 2025.04.16 |
넵튠 서브컬처 RPG 앵커패닉 사전예약 방법 혜택받기 (0) | 2025.04.16 |
2025 드론 라이트 쇼 일정, 꿀팁 총정리!! (1) | 2025.04.15 |
배달앱 안 써도 30만원 지원! 55만 자영업자 대상 배달비 지원 (0) | 2025.04.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