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322

다자녀 우대카드 지역별 종합 신청방법 총정리 2편 다자녀 우대카드 관련 이번에는 저번 포스팅을 이어서 작성하겠습니다. 대전광역시,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경상북도,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경기도, 제주특별자치도 순으로 작성하겠습니다. 끝까지 정독하셔서 다자녀가족은 혜택을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대전광역시 꿈나무사랑카드 대전은 다자녀가정 우대제 추친을 2007년 7월부터 진행해 왔습니다. 꿈나무사랑카드는 2015년부터 교통복지카드로 통합되었습니다. 발급대상: 대전시 거주 18세 이하 자녀가 3명 이상인 가정으로 대전시에 주민등록되어 있는 부모 신청장소: 대전시 소재 하나은행 전 지점 지참서류: 신분증, 주민등록등본(정부 24에서 인터넷 무료발급가능) 등 셋째아 이상 확인 가능서류 우대기간: 막내가 19세가 되는 해 1월 1일부터 중단 전라남도 다자녀행복.. 2023. 3. 22.
다자녀 우대카드 지역별 종합 신청방법 총정리 1 편 다자녀 우대카드는 다자녀가족이시면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생활안전 지원을 위해 마트, 식당, 레저, 문화시설 등등 관련업체 이용 시 할인 혜택과 면제 해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서울특별시, 강원도, 부산광역시, 충청북도, 인천광역시, 충청남도, 대구광역시, 전라북도에 다자녀우대카드를 소개하고 신청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서울특별시 다둥이행복카드 신청일 현재 만 19세 이상으로 서울특별시 거주하는 2자녀이상 가정중, 막내가 만 13세 이하인 가정이 해당사항이 있습니다. 기본구비서류는 2자녀 입증서류(가족관계증명서), 카드가입신청서, 본인확인서류(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준비하셔야 합니다.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와 신분확인용 카드가 신청가능합니다. 가까운 우리은행 전 영업점에서 신.. 2023. 3. 22.
2023년 다자녀가족 국가지원제도 총 정리 2편 저번포스팅에 이어 다자녀가족 국가지원제도 2편을 만들었습니다. 내용 다소 길어질까 봐 나눠서 포스팅하였으니 양해 바라며 정독하셔서 다자녀가족 지원 혜택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다자녀가족 국가지원제도 항목 공공 시설 이용 감면 수목원 등 2자녀 입장료 무료 https://kna.forest.go.kr(문의) 031-540-2000 철도운임(KTX, SRT) 2자녀 지정된 좌석을 등록된 가족 중 최소 3명이상(어른1명포함) 이용 시 어른운임의 30% 할인 KTX //www.letskorail.com/(문의) 1544-7788 SRT https://etk.srail.kr/(문의) 1800-1472 공항주차장 할인 2자녀 주차장 50% 할인 https://park.airport.co.kr/ (문의) 홈페이지 내 .. 2023. 3. 22.
2023년 다자녀가족 국가지원제도 총 정리 1편 저출산이라는 위기 상황 속에 정부에서 다자녀가족 대상으로 혜택을 넓히고 있습니다. 다자녀가족들에게 의료비, 양육, 교육, 공공요금 등 지원하여 생활에 부담을 덜고 좋은 환경을 만들어주기 위한 혜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분류 구분 대상 지원내용 신청 및 문의 의 료 비 신생아 난청 의료비 2자녀 신생아 난청 외래 선별검사비 등 대상 영아의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보건소 (문의) 관할보건소 / 120(다산콜센터) 미숙아, 선천성 이상아 의료비 2자녀 미숙아:체중별 1,000만원 선천성이상아: 1인당 최대 500만원 신청일 기준 대상 영아의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보건소 (문의) 관할보건소 / 120(다산콜센터) 양 육 어린이집 우선입소 2자녀 / 3자녀 우선입소 1순위 https://www.childcare.g.. 2023. 3. 21.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관련 행동요령 꼭 확인!!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란 서울 지역 내 고농도 미세먼지(PM-2.5)가 일정기간 지속되는 경우, 시민건강을 위해 미세먼지를 단기간에 줄이고자 자동차, 공장, 공사장의 대기오염 물질을 줄이는 조치를 뜻합니다. 앞으로 우리 현대화 사회에서 자주 일어날 일이라고 보입니다. 다 같이 실천하여 건강을 지킵시다. 고농도 미세먼지 시민행동요령 1. 외출은 가급적 자제하기 - 실외 모임, 캠프, 스포츠, 동호회 등 실외활동을 최소화하기 2. 외출 시 몸 상태에 따라 보건용 마스크(식양처 인증) 착용하기 - 마스크 착용 시 공기누설을 체크하며 안면에 마스크를 밀착해 착용하기 - 임산부, 호흡기, 심혈관 질환자, 어린이, 노약자 등 마스크 착용으로 호흡이 불편한 경우 사용을 중지 3. 외출시 대기오염이 심한 곳은 피하고, .. 2023. 3. 20.
마스크 착용 의무화 해제 의무유지시설 및 권고지역 과태료 확인 3월 20일부터 마스크 착용 의무화가 해제됩니다. 하지만 마스크 착용 권고지역이 따로 존재하므로 포스팅을 정독하시고 주변분들에게 피해를 끼치지 않도록 바라며 대상별 과태료 금액도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마스크 의무화 해제 지역 지하철, 버스, 택시와 같은 대중교통수단 전체에 대한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되었습니다. 추가적으로 대형마트, 터미널등에 위치한 차단막이나 칸막이가 없는 대형시설 내 개방형 약국도 착용의무가 해제되었으니 참고 바랍니다.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지역(자율로 전환) ▶ 대중교통수단: 택시, 버스, 철도, 도시철도, 여객선, 도선, 항공기 등 ▶ 마트, 대형시설 안의 개방형 약국 마스크 의무화 유지 지역 ▶ 요양병원, 장기요양기관 - 노인요양시설 -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 주야간보.. 2023. 3. 18.